DA (Display ADs)
: 디스플레이 광고, 온라인 배너 광고.
인터넷 공간 속에 띠, 박스의 형태로 이미지가 노출이 되는 광고 상품을 말한다. (네이버 롤링보드, 구글의 GDN등…)
GDN (Google Display Network)
: DA 중 시스템이 뛰어나다고 평가 받는 구글의 광고.
인터넷의 신문사, 블로그, 파트너 사이트 와 제휴하여 많은 광고 인벤토리를 확보함.
Gmail의 텍스트 광고, 유투브의 배너 광고 모두 이에 포함된다. (GDN 디스플레이 광고)
네이버 롤링보드
: 광고비 만큼 노출 수를 보장하는 광고 상품. 광고비가 높아질수록 보장 노출 수는 증가한다.
단위 별로 판매되며 CPM 광고 상품에 해당된다. (네이버 홈 롤링보드(디스플레이 광고) 도움말)
SA (Search ADs)
: 검색 광고, 키워드 광고를 의미. 네이버 파워링크, 다음 프리미엄 링크 등 검색 시 하단에 나타나는 광고.
CPP (Cost Per Period)
: 기간 보장형 광고 상품
CPA (Cost Per Action)
: CPA는 내가 원하는 사용자의 액션 (회원가입, 설치, 이벤트 참여) 을 하게 되는데 사용된 비용.
액션을 보장해주고 그 액션에 대해 비용을 과금하는 형태.
CPI (Cost Per Install)
: 설치 당 비용을 과금하는 형태로 광고주 입장에서 비용내에서 설치 수를 보장받을 수 있다는 장점.
다만 설치를 보장해야하므로 CPC와 같은 광고 상품에 비해서는 단위당 비용이 큰 편.
일반적으로 모바일 게임,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에서 많이 집행하며 리워드형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집행이 가능한 광고이다.
CPC (Cost Per Click)
: 1번 클릭 당 비용.
CPC 광고는 샤용자의 클릭 당 광고 비용이 과금되는 광고 상품이다.
CPC가 낮을 수록 비용 대비 많은 유입이 있었다는 의미.
CPM (Cost Per Mille)
: 1000번 노출 당 비용을 의미.
CPM광고는 광고 상품의 비용을 노출당 비용으로 책정하는 광고 상품으로 클릭수는 보장이 되지 않지만 노출 수가 보장이 되는 상품이다.
CPM이 낮을수록 비용 대비 저렴.
CTR (Click Through Rate)
: 노출 대비 클릭한 비율, 즉 클릭률.
-> CPC, CPM, CTR 등은 일반적으로 비용 대비 효과를 판단하는데 참고하는 지표
Impression 노출량
: 내 광고가 얼마나 보여졌는지 나타내는 지표.
ROI, ROAS (Return On Investment, Return On ADs Spending)
: ROI는 투자수익률(광고 비용 대비 수익률) ROAS는 광고수익률을 의미.
매출과 수익은 다를 수 있으므로 ROI와 ROAS 수치는 다를 확률이 높다.
모두 마케팅 활동 혹은 광고 집행 시 효율을 따질 때 사용하는 지표. 둘 다 수치가 높을수록 좋다.
'공부 >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온라인 광고 용어 (0) | 2020.02.21 |
---|---|
Agile 에자일 (0) | 2020.01.19 |
ASO (App Store Optimization, 앱스토어 최적화) (0) | 2020.01.19 |
Draw call 드로우콜 (0) | 2020.01.19 |
Milestone 마일스톤 (0) | 2020.01.09 |